[서버 권한] chmod 권한 755·777 설정법 및 주의사항
·
개발 환경 | 도구/서버 | 인프라 | 배포 | 운영
1. 개요Linux 파일 시스템의 권한은 3자리 숫자로 표현되며, 각 자리수는 소유자(owner), 그룹(group), 기타 사용자(other)에 대한 읽기(read), 쓰기(write), 실행(execute) 권한 비트를 나타냅니다. 755는 소유자에게 읽기·쓰기·실행 권한을, 그룹·기타 사용자에게 읽기·실행 권한을 허용하며, 777은 모든 사용자에게 모든 권한을 부여합니다. 보안상 777은 가능한 피해야 하며, 디렉토리는 755, 파일은 644 사용을 권장합니다. 권한 설정을 위해 chmod 명령어와 find를 조합해 재귀적으로 적용하고, chown·chgrp로 소유자·그룹을 정확히 지정해야 합니다.2. chmod 모드 숫자 의미2-1. 숫자별 권한 비트4(Read) : 파일 읽기 또는 디렉토리 목록..
[Oracle Cloud] 기본 설정 및 SSH 접속 방법 등의 기본 세팅
·
개발 환경 | 도구/서버 | 인프라 | 배포 | 운영
1. Oracle Cloud 계정 생성Oracle Cloud Free Tier 페이지(https://signup.cloud.oracle.com)에 접속합니다 국가, 이름, 이메일, 연락처, 결제 정보를 입력합니다. 결제 정보는 본인 확인용이며, 크레딧 차감이나 요금 청구는 이루어지지 않습니다.이메일 인증 및 SMS 인증 절차를 완료하면 Free Tier 계정이 활성화됩니다.2. 네트워크 및 컴파트먼트 준비2.1 VCN 및 서브넷 확인Free Tier 계정은 최대 2개의 VCN(Virtual Cloud Network)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OCI 콘솔에서 상단 햄버거 메뉴 → Networking > Virtual Cloud Networks 로 이동하여 원하는 VCN을 선택하거나 새로운 VCN을 생성합니다...
[Nginx, Apache] Nginx vs Apache 및 내장 서버 비교: 아키텍처·성능·사내 DNS 운영
·
개발 환경 | 도구/서버 | 인프라 | 배포 | 운영
1. 개요웹 서버(Web Server): HTTP 요청을 받아 정적 파일을 반환하거나, 뒤단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프록시 역할을 수행Nginx vs Apache: 아키텍처, 처리 모델, 확장성, 설정 방식에서 차이가 존재내장 서버(Built-in Server): 개발·테스트 용도로 언어별로 제공되며, 프로덕션 환경에는 부적합사내 DNS 서버: BIND9 등을 이용해 내부 네트워크 전용 도메인(zone)과 레코드(A, CNAME 등)를 설정·관리2. Nginx와 Apache의 아키텍처 및 성능 차이2-1. 아키텍처Apache는 프로세스/스레드 기반(각 요청마다 스레드 또는 프로세스 생성)인 MPM(Multi-Processing Module)을 사용한다.Nginx는 이벤트 드리븐(event-driven) 비동..
[Jenkins] Jenkins(젠킨스)란?
·
개발 환경 | 도구/CI | CD
1. 개요**젠킨스(Jenkins)**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ployment)를 자동화하는 오픈소스 도구입니다.CI/CD를 통해 개발자는 코드 변경 사항을 빠르게 빌드, 테스트, 배포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1-1. CI/CD란?CI(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개발자가 코드 변경 사항을 푸시하면 자동으로 빌드 및 테스트 수행빠른 오류 감지 및 코드 품질 유지CD(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 배포)테스트를 통과한 코드가 자동으로 배포신속한 서비스 업데이트 및 운영 부담 감소1-2. 젠킨스의 주요 기능자동 빌드 및 테스트 – 코드 변..
[부하 테스트] Grafana 대시보드 해당 값 설명
·
개발 환경 | 도구/서버 | 인프라 | 배포 | 운영
1. Summary (요약)테스트 수행 중 기록된 핵심 정보Minimum/Maximum Users → 최소/최대 동시 사용자 수Active Users → 실제 서버와 연결된 사용자 수Total Requests → 서버로 전송된 총 HTTP 요청 수Failed Requests → 실패한 요청의 총 개수Success Rate % → 성공한 요청 비율Failure Rate % → 실패한 요청 비율Minimum Response Time → 최소 응답 시간 (ms)Maximum Response Time → 최대 응답 시간 (ms)Total Received Bytes → 서버로부터 받은 총 데이터량Total Sent Bytes → 서버로 전송한 총 데이터량Error By Status Codes → HTTP 상태 코..
[L4 로드 밸런서] L4 스위치, 트래픽 분배, 부하 테스트 방법
·
개발 환경 | 도구/서버 | 인프라 | 배포 | 운영
1. L4 로드밸런서란?1-1. 로드밸런서 개념로드밸런서는 여러 개의 서버(A, B, C…)로 트래픽을 분산시켜 특정 서버의 부하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L4는 **OSI 7계층 중 4계층(전송 계층, TCP/UDP)**에서 작동합니다.1-2. 대표적인 로드밸런서 종류L4 로드밸런서: TCP/UDP 패킷 단위로 트래픽을 분배L7 로드밸런서: HTTP/HTTPS 기반으로 URL, 쿠키, 세션 등의 정보를 보고 분배1-3. L4 로드밸런서 특징트래픽 라우팅: 패킷의 IP, 포트 정보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라우팅서버의 숨김: 클라이언트는 개별 서버의 존재를 알지 못함1-4. 대표적인 L4 로드밸런서하드웨어 기반: F5 BIG-IP, A10 Thunder, Citrix NetScaler소프트웨어 기반: HAPro..
[GitHub]Git 필수 개념 정리 – .gitignore, Merge, Branch
·
개발 환경 | 도구/버전관리 (Git)
1. 개요현대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 Git은 협업 및 코드 버전 관리를 위한 필수 도구입니다. 본 내용은 Git의 다양한 기능—.gitignore, Merge, Branch, Git Flow, 충돌 해결—에 대해 실무적인 관점에서 정리한 자료입니다. 각 항목별로 기본 개념, 사용법 및 주의사항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설명하며, 단락 전환 시 "..." 기호를 사용해 명확한 구분을 두었습니다. 추가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팁도 포함하였습니다.2. .gitignore – Git에 포함되지 않을 파일 지정하기2-1 .gitignore란?Git에서 특정 파일이나 폴더를 버전 관리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도록 설정하는 파일입니다. 주로 빌드 파일, 환경 설정 파일, 캐시 파일 등 민감하거나 관리 불필요한 파일을 제외할 때..
[온프레미스 vs 클라우드] IT 인프라 구축 시 고려해야 할 모든 것
·
개발 환경 | 도구/서버 | 인프라 | 배포 | 운영
1. 개요기업 IT 인프라 전략 수립 시, 온프레미스(On-Premises)와 클라우드(Cloud) 방식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보안, 비용, 유지보수, 확장성 등 다양한 요소를 균형 있게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본 자료는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개념과 각 방식의 장단점을 실무적 관점에서 정리하고,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들을 보강하여 다각도로 분석한 내용입니다.2.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개념 정리2-1. 온프레미스(On-Premises)정의:기업이 자체적으로 서버, 네트워크 장비, 스토리지 등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방식입니다.특징:보안: 데이터를 내부망에서 처리하여 외부 유출 위험을 최소화, 높은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운영: 인프라 전반을 자체 관리해야 하므로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