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트(PORT)란?
**포트(PORT)**는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IP 주소 내에서 실행 중인 여러 프로세스를 구분하기 위한 논리적 번호 체계입니다.
쉽게 말해, IP가 건물 주소라면 포트는 그 건물 안의 호실 번호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왜 포트가 필요한가?
한 컴퓨터(IP)에서 여러 네트워크 서비스가 동시에 운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포트 번호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이 정확한 서비스나 프로세스로 라우팅됩니다.
3. 포트 번호 범위
범위 | 구분 | 설명 |
0 ~ 1023 | Well-Known Ports | 공인 포트, HTTP(80), HTTPS(443), SSH(22) 등 |
1024 ~ 49151 | Registered Ports | 사용자 등록 포트, 특정 애플리케이션용 |
49152 ~ 65535 | Dynamic / Private Ports | 클라이언트 임시 통신용 (Ephemeral) |
4. TCP 포트 vs UDP 포트
- TCP 포트: 연결 기반(신뢰성 보장), 예: HTTP, HTTPS, SSH
- UDP 포트: 비연결 기반(빠르지만 신뢰성 없음), 예: DNS, 스트리밍
5. 포트와 방화벽/보안의 관계
- 필요한 포트만 열기 (Whitelist 방식)
예: 웹 서버는 80/443만 열고 나머지는 차단 - 포트 스캐닝 방지
공격자는 열려 있는 포트를 스캔해 취약점을 찾음 → 보안 장비나 침입 탐지 시스템(IDS) 도입 필요 - 기본 포트 변경도 하나의 보안 기법
예: SSH 기본 포트(22)를 2222로 변경하여 단순한 봇 공격 회피
6.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이란?
포트 포워딩은 외부에서 특정 포트로 들어온 트래픽을 내부 네트워크의 지정된 장비(IP)와 포트로 전달(포워딩) 하는 기술입니다. 주로 공인 IP가 하나뿐인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예시:
- 외부 접속: 203.0.113.10:8080
- 내부 전달: 192.168.0.100:80
※ 가정용 공유기에서 많이 사용하는 개념으로, 내부 서버를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할 때 필요합니다.
7. 자주 사용되는 서비스별 기본 포트 번호
서비스 | 프로토콜 | 포트 번호 |
HTTP | TCP | 80 |
HTTPS | TCP | 443 |
SSH | TCP | 22 |
FTP | TCP | 21 |
MySQL | TCP | 3306 |
PostgreSQL | TCP | 5432 |
DNS | UDP | 53 |
SMTP | TCP | 25 |
Redis | TCP | 6379 |
MongoDB | TCP | 27017 |
RDP (원격 데스크탑) | TCP | 3389 |
※ 위 포트들은 대부분 방화벽이나 보안 그룹 설정 시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8. 실제 예시: 웹 서버에서 포트 동작
구성 요소 | 예시 |
IP 주소 | 123.45.67.89 |
포트 번호 | 80 (HTTP), 443 (HTTPS) |
실제 주소 | http://123.45.67.89:80 또는 https://123.45.67.89:443 |
9. 결론
포트는 네트워크 통신의 핵심 단위이자 서비스 식별자입니다. 서비스 구성 시 포트를 명확히 정의하고, 포트포워딩 및 보안 설정을 철저히 해야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10. 참고 자료
'보안 > 보안 | 인증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calHost] 0.0.0.0/0 아이피의 의미와 보안상 주의사항 (0) | 2025.04.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