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밍 컨벤션은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변수, 함수, 클래스 등의 이름을 일관된 규칙에 따라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개발 환경에서 권장하는 컨벤션이 다르며, 주요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네이밍 컨벤션 종류
1. camelCase (카멜 케이스)
- 표기법: 첫 단어는 소문자, 이후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
예) userName, calculateTotalPrice - 사용처: JavaScript, Java, Swift 등에서 변수명, 함수명에 주로 사용
2. PascalCase (파스칼 케이스)
- 표기법: 모든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
예) UserModel, DatabaseConnection - 사용처: 클래스, 인터페이스, 생성자 함수 정의 시 활용
3. snake_case (스네이크 케이스)
- 표기법: 단어 사이에 밑줄(_) 사용, 모두 소문자
예) user_id, created_at - 사용처: C/C++ 변수, 데이터베이스 컬럼명
4. kebab-case (케밥 케이스)
- 표기법: 단어 사이에 하이픈(-) 사용, 모두 소문자
예) user-profile, data-export - 사용처: CSS 클래스, URL 경로, 파일 이름
5. SCREAMING_SNAKE_CASE (스크리밍 스네이크 케이스)
- 표기법: 단어 사이에 밑줄(_) 사용, 모두 대문자
예) MAX_VALUE, DEFAULT_TIMEOUT - 사용처: 상수, 환경 변수, 매크로 정의
기타 네이밍 컨벤션
6. Hungarian Notation (헝가리안 표기법)
- 표기법: 변수 타입을 접두어로 표기
예) strUserName(문자열), iCount(정수) - 특징: 현대 언어에서는 타입 추론 기능으로 사용 감소
7. flatcase (플랫 케이스)
- 표기법: 공백 없이 모두 소문자 연속 표기
예) username, totalprice - 단점: 가독성이 낮아 현대 개발에서 거의 사용 안 함
선택 가이드라인
- 언어별 권장 규칙
- Python: snake_case
- Java: camelCase(변수), PascalCase(클래스)
- JavaScript: camelCase(변수), PascalCase(컴포넌트)
- 팀 협업 시 고려사항
- 프로젝트 초기에 컨벤션 표준화
- 자동화 도구(ESLint, Prettier) 활용
- 문서화를 통한 규칙 공유
- 사용 목적별 적용
목적 | 추천 컨벤션 | 예시 |
클래스 | PascalCase | UserController |
상수 | SCREAMING_SNAKE | MAX_LENGTH |
CSS 클래스 | kebab-case | .main-container |
DB 컬럼 | snake_case | created_at |
네이밍 컨벤션은 개발 생태계의 진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합니다. 핵심 원칙은 가독성 향상과 팀 협업 효율성 증대에 있으며, 언어별 권장 사항과 프로젝트 특성을 고려해 적절한 규칙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무 | 성장 > 트러블슈팅 | 개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러블슈팅] Ubuntu 서버에서 Laravel 내장 서버→Apache 전환 후 권한·포트 이슈 해결기 (1) | 2025.04.21 |
---|---|
[BitLocker] 무한 로딩 이슈 해결기: Dell PC에서 Ubuntu 활용 복구 및 포맷까지 (0) | 2025.04.12 |
[최적화] 버블 스타일의 문제점 심화 분석과 게이트웨이 스타일 고도화 기법 (0) | 2025.02.02 |